나의 공간과 이야기

4U까페 - NGO진학 및 전공관심자들에게..

Historymaker731 2014. 10. 26. 17:34

안녕하세요?

 

 1978년생 오장훈입니다. 전공이 NGO학. 부전공이 행정학입니다. 4년제 대학과정을

정규가 아닌 소위 원격대학인 사이버대학교에서 졸업 및 이수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NGO 전공에 대한 관련분들에게 궁금하신 분들에 한해서 말씀을 드리고자 합니다.

수능 같은 정규 일반 대학교 과정은 생략합니다.

 

저도 늦은 나이에 30대초반에 NGO학사 전공을 소위 사이버대학교에서

4년제를 2013년도에 8월에  나왔습니다. (졸업했다는 거죠)

 

직장 다니고 일하면서 대학 공부를 하고 다녔기 때문에  힘든 부분이 많았습니다.

나이대도 있고  일반 대학교 과정에서서 공부할 여건이 안되는 부분도 있기 때문에..

 

석사과정은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에도 NGO석사 과정이 있습니다.

전공이 글로벌 폴리틱스나 국제 개발학과등 대학교 과정마다 통상 명칭이 조금 다르죠

NGO 정규 교육과정의 문제는 NGO학과는 석사 학위 이후에는

정치학이나 행정학 전공을 박사 과정에서 해야 합니다.

대한민국에서 NGO박사 과정이 완성되지 못했죠.

해외유학파가 아닌지라 외국에는 어떤 전공 과정을 요구하는지 모르겠지만,

어쨋든 한국의 NGO전공자 대부분 외교부나 NGO단체 근무자 또는 비전공자들이 많습니다.

 

그나마 예외적인 인물이 서울대학교 공석기 NGO 교수 외에는 국내에서 전공자 관련 인물이

정치에서 반기문과 박원순 밖에 없죠

 

NGO의 전공자 경우 여러 방면 다분야이기 때문에

 자기 계획과 학습계획이 없으면 공부하신다고 해도 흥미가 없죠

위 처럼 성공한 케이스는 정말 1%도 안되는 극소수가 되죠

 

그렇다고 저 1%에 못 든다고 좌절하지 마세요

 

이 나이에 꿈 찾겠다고 결혼포기하면서 묵묵히 나의 길을 가시고 있는 분들도 있겠지요

 

저도 몇몇 NGO 알만한 단체 굿네이버스 외 지원을 하고 도전중에 있죠

거기다가 국가고시인 행정고시 7급도 실패도 하고 쓴 맛을 보고 있죠

 

두가지 방향을 알려줍니다.

 

외국대 전공자는 소위 편입에서 유리 하죠

 

그도 아닌 평범한 사람들은

 

소위 일반 대학교 전공자는  일단 해당 전공을 하다가 전과를 하시거나 아니면 각종 NGO단체에 해당 분야에서

인턴직이라도 해서 경험을 해야 합니다.  이것도 경쟁이 치열해서 만만치 않죠

 

사회복지의 경우는 좀 특수 합니다.

주로 상담분야이기 때문에.. 심리학 전공도 하셔도 좋고 

코이카나 국제 해외 봉사에 참여 하셔서 자원봉사 하셔도 됩니다

대부분 이런  자원봉사는 알다시피 자비로 하거나 또는 NGO에서 직위가 없는 비권한자 입니다.

NGO학사 이상 전공자도 마찬가지 직위와 권한이 없습니다.

다만 현장 활동에서 공부에는 도움이 되겠죠 

 

UN에서 권한이 있다는 것은 최소 20년 이상 해당 분야에서 일한 전문가나 UN직위가 있거나 공식적으로

 직급이 높은 단계에 있는 UN관계자들을 말합니다.

 

저는 공학분야 학업만 27년이 넘어가는데 한국에서 직장 경력이 다소 문제죠

 

뭐  잔소리가 길어졌네요.

 

저는 석사과정을 NGO석사가 아닌 행정학으로 분야로 전공하려는 1인이라서

 

NGO 처음 접하신 분들에게 조언을 하자면 편입을 하시던지 아니면 학사 과정 때 부터 밟고 올라가시던지

개인들이 알아서 선택하시라는 겁니다.

석사 까지 나왔다 하시는 분들은 경험이 없다면 NGO단체등에서 상근으로 일하시던지 아니면 해당관련분야

경력을 쌓으시고 인턴이나 지원 과정에서 지원하시면 된다고 봅니다.

 

저는 개인  자원봉사자로 활동중이며.. 약간 사회복지 쪽으로도 전공을 바꿀까도 고민중인데

백수인지라 석사과정 진학이 20대들 보다는 매우 어려운 편에 속합니다.

 

정규 대학이 비싸서 어려운 형편에 계신분들은 정규가 아닌 원격 대학에서 경희사이버대학교

학사과정을 추천합니다.

제가 졸업해서 그런게 아니라 진짜 자기 공부를 하시는 분들에게 추천을 하는 것입니다.

 

학사 교육과정이 궁금하시다면 방문하셔서 교육 편제 과정을 직접 보고 확인하세요

다소 정치도 공부해야 해서 저도 성적이 안좋습니다 ㅋ

 

경희사이버대학교 NGO학과 과정은 아래 사이트를 참고하세요

직장 다니면서 공부하고자 하시는분들에게 유리합니다.

 

 http://www.khcu.ac.kr/khcu_new/index.jsp 

  

학업 성적이 좋고 나쁜 거와 일하는 건 상관이 없겠지만 어쨋든 모두 각자 열심히 활동하시면

언젠가는 기회가 오겠죠

PS) 유니세프한국 위원회에 신입 인턴과정지원하셨다면 저랑 경쟁할지도 모르겠네요 

참고로 학회는 한국NGO학회회원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http://www.ngo21.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