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공간과 이야기

정신교육기본교재 - 위기극복을 위한 우리의다짐 국방부 1999.8 - 1장까지 작업

Historymaker731 2014. 8. 26. 17:29

 

정신교육기본교재 - 위기극복을 위한 우리의다짐 국방부 1999.8

 

 

 

 

 

 

 

활용지침

 

○ 본 교재는 객관적이고 시사성 있는 최신 자료들을 정리하여 장병정신교육 기본교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제작한 것임.

 

○ 교재내용은 제1부 전쟁위협, 제2부 국방태세, 제3부 우리의 다짐등 3대 영역으로 12개 과목으로 구성하였음.

 

○ 각급 지휘관은 장병들이 교재내용을 완전히 숙지하여 자기 신념화를 할 수 있도록 지도할 것.

 

목차

 

제1부 안보환경의 북괴의 전쟁도발 위협 (전쟁위협) / P1

 

01. 세계는 불타고 있다. / P2

02. 북괴의 전쟁도발 위협 / P6

03. 북괴의 위장평화공세와 대남도발 / P11

04. 실패한 체제, 신음하는 북한 주민 / P14

 

제2부 우리의 안보 국방태세 (국방태세) / P17

 

05. 튼튼한 안보를 바탕으로 한 대북 포용정책 / P18

06. 북괴군은 우리의 주적, 싸워서 이길 수 있다. / P21

07. 주한 미군은 왜? 필요한가? / P25

08. 통일은 참다운 뜻은? / P28

 

제3부 위기극복을 위한 우리의 다짐 (우리의 다짐) / P31

 

09. 자유민주주의 체제의 우월성 / P32

10. 좌경용공세력의 실체와 위협성 / P35

11. 민족수난의 역사와 국방의무 / P38

12. 민주시민의 책임과 의무 / P41

 

----------------------------------------------------------------

 

제1부

 

안보 환경과 북괴의 전쟁도발 위협

  

 

1. 세계는 불타고 있다.

 

○ 냉전 종식 이후 인류의 평화에 대한 갈망을 비웃기라도 하듯, 세계는 지금 국지분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새로운 위기의 시대」를 맞고 있다.

 

1998년 한 해만 해도 지구상에서 무려 94건의 무력충돌이 벌여졌으며, 1999년 현재 77건의 분쟁이 진행되고 있다,

 

○ 동·서양 진영의 긴장과 대립이 종식된 탈냉전시대에 오히려 지역분쟁이 증가하고 있는 원인은 무엇인가?

첫째, 미소 양대 초(超) 강대국에 의한 통제력이 약화·소멸되었다.

· 과거 냉전시기의 각종 분쟁들은 미·소 양국의 일종의 대리전(代理戰)이였으나,

· 오늘날의 국제사회는 강대국들의 통제를 벗어난 「무정부 상태」와 같다.

둘째, 냉전시대의 잠재해 있던 각종 분쟁 내재요인들이 표출되기 시작하였다.

· 탈냉전 시대에 들어 그동안 강대국들의 세력권 내에서 억제되어 왔던 각국의 개별적 이해들이 민족·영토·종교·자원 등을 둘러싸고 일제히 분출되기 시작했으며,

· 이들 분쟁 내제요인들은 사안 자체가 타협에 의한 평화적 해결이 어렵다는 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셋째, 탈냉전시대에는 신뢰할 만한 분쟁조정 세력이 존재하지 않는다.

· 주요 강대국들은 분쟁해결에 적극 나서기 보다는 자국의 이익에 따른 선택적 개입과 심지어 분쟁지역에 대한 무기 수출로 오히려 분쟁을 악화시키고 있으며,

· 세계평화를 위한 국제기구 역할을 감당해야 할 유엔 역시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기 어려운 상태이다.

 

탈냉전시대의 각종 분쟁 당사자들에게 대규모 인명살상과 대량파괴의 비극을 안겨다 주고 있다.

― 코소보 사태에서는 잔인한 대량살상이 조직적을 자행되었으며, 이로 인해 1백만 명이 이상의 난민이 발생하였고,

― 아프리카 지역에서는 르완다 내전으로 5년간 1백만 명의 사상자와 2백만 명의 난민이 발생하였고,

― 에티오피아와 에리트리아 간의 분쟁으로 지난 1년간 5만명의 사상자와 20만명의 난민이 발생하였다.

 

불안정성과 불확실성의 탈냉전시대에 우리의 안보를 지키기 위해서는 우리 자신의 강력한 힘과 한·미 동맹을 필요로 한다.

― 동북아 지역은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 등 세계 군사강국간 군비경쟁과 지역패군 다툼이 심화되고 있으며,

― 한반도는 아직까지도 북괴의 핵, 화생무기 등 대량살상무기 개발 의혹이 해소되지 않는 등 과거 그 어느 때보다도 군사적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 특히, 우리는 미국, 러시아와 같은 강대국들의 통제력이 약화된 틈을 타 걸프전을 일으킨 후세인(사담 후세인)과 코소보 사태의 주범인 밀로셰비치의 군사적 모험주의가 오늘날 한반도에서도 재현될 위험이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 우리는 이러한 상황을 명확히 인식하고, 완벽한 대비태세를 갖춤으로써 한반도에서의 전쟁을 미연에 방지하여야 한다.

 

지금도 세계는 불타고 있다. 오직 강한 힘만이 평화를 보장한다.

 

(PS. 필자 주. 여기서 힘은 자주국방의 기본적인 힘이다. 나라를 지키는 방어 능력이기도 하지만 스스로 무력해결을 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나는 도발적인 훈련이나 국지성 도발의 준비에 대해선 선제 맞대응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1인이다. 북 도발에 대해서는 응징으로 맞써야 한다고 생각한다. 눈에는 눈 이에는 이다.)

 

각 지역별 주요 분쟁현황(77개소)

 

지역

분쟁내역

미주지역(5)

콜럼비아 내전, 멕시코 내전, 페루 내분, 페루-에콰도르 국경분쟁, 포클랜드 분쟁(잠재)

흑아프리카(19)

부룬디 내전, 르완다 내전, 앙골라 분쟁, 에티오피아-에리트리아 국경분쟁, 레소토 사태, 세네갈 내분, 소말리아 내전, 시에라리온 내분, 지부티 내분, 나이지리아-카메룬 분쟁, 나이지리아 내분, 자이르-콩고 쟁, 케냐 정치/부족분규, 에티오피아 내전, 콩고 내분, 토고 정쟁(政爭), 라이베리아 내전, 차드 분쟁, 우간다 분쟁

북아프리카(5)

수단 내전, 알제리 내분, 이집트 종교분규, 이집트-수단 분쟁, 서부사하라 분쟁

아시아 (17)

스리랑카 내전, 인도네시아 분리운동, 아프가니스탄 내전, 미얀마 분쟁, 인도내 분리운동, 캄보디아 내전, 카슈미르 분쟁, 필리핀 내전, 남북한 대립, 남사군도 분쟁, 서사군도 분쟁, 센카쿠,조어도 분쟁, 중-대만 대립, 중-인(印) 국경분쟁, 쿠릴열도 영유권 분쟁, 티베트 독립운동, 방글라데시 내분

CIS (7)

그루지야-압하지아 분쟁, 타지크 내전, 몰도바 내부 분리운동, 아제르바이잔-아르메니아 전쟁, 에스토니아-러시아 분쟁, 북세오티아-잉구시 분쟁, 러시아-체첸 분쟁

유럽 (13)

코소보 독립운동, 알바니아 내분, 북아일랜드 분리운동, 그리스-알바니아 분쟁, 아제르바이잔-아르메니아 분쟁, 사이프러스 분쟁, 그리스-마케도니아 분쟁, 루마니아 민족갈등, 보스니아 내전, 보이보디나 자치 분쟁, 불가리아 민족갈등, 슬ㄹ바키아 민족갈등, 에게해 분쟁, 이스트리아 영유권 분쟁

중동 (11)

터키쿠르드족 분쟁, 레바논 내전, 이란-이라크 분쟁, 이라크 내분, 이란 내분, 이란-UAE 영유권 분쟁, 이라크-쿠웨이트 분쟁, 이스라엘-요르단 분쟁, 팔레스타인 분쟁, 이스라엘-시리아 분쟁, 이란-아프가니스탄 분쟁

 

 

2. 북괴의 전쟁도발 위협

  

 

※작업중인 파일 첨부 파일

 

P군인복무규율과 우리의다짐 1999.8.jpg

정신교육기본교재 - 위기극복을 위한 우리의다짐 국방부.hwp

 

---------------------------------------------------

 

오늘작업은 여기까지

이제 겨우 1장만 나열했다.

한글 문서화 작업 중

 

귀찮다.

 

이젠 반공논쟁 이런걸로 싸워야 하냐???

 

 

P군인복무규율과 우리의다짐 1999.8.jpg
0.12MB
정신교육기본교재 - 위기극복을 위한 우리의다짐 국방부.hwp
0.12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