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공간과 이야기

2014. 경희사이버대학교 목요특강(시민특강)10월유신과 1026사태

Historymaker731 2014. 9. 27. 12:23

2014.09.25  경희사이버대학교 목요특강 10월유신과 1026사태

 

2014 목요특강


제4강 '10월 유신과 10.26사태'



   '2014 목요특강'의 제4강 「10월 유신과 10.26사태 」가  9월 25일(목), 경희대학교 청운관에서 열립니다.  본교 재학생 뿐 아니라 타 대학생, 일반 시민을 대상으로도 열려있으니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 



*일시 : 2014. 9. 25(목) 저녁 7시 30분 

*장소: 경희대학교 청운관 407호

*강연자: 황병주 박사

 ·(현)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사

 ·한양대학교 강사

 ·주요논저

  - 박정희 시대의 새마을운동(2014) 

  - 유신체제기 평등-불평등의 문제설정과 자유주의(2013) 등

*강의개요

 

 10월 유신과 10.26사건은 1970년대의 시작과 끝을 상징한다. 10월유신으로 한국현대사상 최악의 비민주적 독재체제가 수립되었으며 10.26사건으로 유신체제가 종막을 고하였다. 요컨대 한국현대사의 핵심적 화두 중의 하나인 민주주의가 가장 날카롭게 문제화되었던 역사적 시공간이었다. 아울러 1970년대 중화학공업화로 상징되는 1970년대 산업화 과정은 오늘의 한국사회의 원형을 주조시켜 놓았다고 하겠다. 요컨대 10월 유신과 10.26 사건 사이에 있었던 1970년대는 오늘의 한국사회를 이해하기 위한 정치경제학적 기원이 된다고하겠다.


※ 참석하시는 분들께는 간단한 간식이 제공됩니다. 
※ 강의자료는 강의 전 업로드 예정입니다. 
※ 이전강의 다시보시[오픈미디어]  

 

 

간만에 목요특강을 시간 내서 청강하러 갔다.

 

졸업후 학교는 드문 드문 가고 있다.

 

1978년생인 나다. 그래서 아주 어릴적에 일어난 역사다.

어언 30년전 이야기니 까마득하고 기억이 안 나야 정상인데..

 

1979년도에 박정희가 암살된 건.. 이건 전혀 기억이 없고

오히려 전두환 때 5공이나 삼청교육대 이런건만 기억난다.

 

나는 오히려 1980년도 광주사태(그 당시 언론 표현) - 광주 민주화 운동만 기억난다.

그것도 아주 어릴적에 언론으로 그걸 봤으니 빨갱이가 설친다고 생각했다

 

정치 역사가 어쨋든 양쪽 진영 논리를 듣고 판단해야 한다.

한국에서도 정치역사가 곧 경제 역사이기 때문에.. 복잡하다.

 

그 시대에 살았던 분들의 정치적 트라우마는 알겠는데..

그렇다고 정확한 인식, 구분, 구별도 없이

무분별하게 정치에서 허위사실을 진짜인 거 마냥 주장하는 행위는

그게 시민이나 시민단체도 박정희 유신정부와 전혀 다를 바가 없다.

 

의료보험하면 어제 전경련 이야기가 나옴

ㅡㅡ;;;

 

행정고시 7급이 합격되야 좀 편안할텐데.. 전혀 마음이 평화롭지 않음

 

 

첨부 파일 - 내 필기 끄적 거린 파일.

 

10월유신과1026사태목요특강.pdf

 

 

강의안 원본파일

 

제5강 강의자료.hwp

 

목요 시민 특강 다음 안내

 

NGO학과 특성화 프로그램

2014 목요특강



제6강 '12.12와 제5공화국'

일시: 2014.10.16(목) 오후7시30분

장소: 청운관 407호

강연자: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김정한 박사



제7강 '6.29선언과 87체제'

일시: 2014.11.20(목) 오후7시30분

장소: 추후 공지

강연자: 경희대 후마니타스칼리지 김윤철 교수

 


 

참석하신 분께는 간단한 식사(김밥,물)와 제공됩니다.

 

지난강의 다시보기

 

 

 

 

10월유신과1026사태목요특강.pdf
6.67MB
?5? ????.hwp
0.05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