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급은 경력만 아니면..외무 5급 2차 볼수 있는데
외무부 5급은 경력만 아니면.
5급 시험 치렀을 텐데..
(외무 5급 2차 시험)
2013년 6.22일에 7급 일반행정 공채로 치뤘다. 처음 본 국가고시
넘어가고 전공 분야 문제를 보니 그럴저럭 풀 수 있는 문제들이다.
문제는 5급은 경력이 모자라서 7급으로 낮춰서 준비하느라 외무 5급을 시험을
못 치르게 되서 7급을 본 것 뿐이고
페이스북에서
가끔 정신병이 돋거나 미친놈이
내가 7급 일반 행정고시 본다고 나한테 지랄한다. (어이 없음, 이건 내 전공선택의 문제지..)
내 전공에선 다음과 같은 두과목이 선택이다.
일반 행정이 아닌 외무 5급공채 지원시
전공에서 흔하게.. 강의 듣는 건데..
국제정치학
2013년 시행 5등급(외무) 공채 제2차시험 문제
제 1 문. 국제연합(United Nations)은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직후인 1945년 10월 창설 되었다. 국제연합 창설 과정에서 주요 강대국들은 과거 국제연맹이 제 기능을 다하지 못했던 점을 교훈삼아 안전보장이사회를 구성하였다. 현재까지 안전보장이사회는 세계평화와 안전보장 문제를 다루는 국제연합의 핵심 기관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총 50점)
1) 안전보장이사회가 구성된 과정과 냉전 종식 이후 안전보장이사회 개혁필요성이 제기되는 이유를 적절한 국제정치이론을 이용하여 설명하시오. (30점)
2) 안전보장이사회가 북한의 핵 실험에 대해 취한 조치사항을 제시하고 이를 실행하는데 드러나는 한계점에 대해 논하시오. (20점)
제 2 문. 2008년 미국발 세계 금융위기는 국제정치경제 질서에서 미국 패권에 대한 다양한 논쟁을 야기했다. 주요 쟁점 중의 하나는 국제 기축통화로서 달러 지위의 지속 여부이다. 이와 관련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총 30점)
1) 세계 금융위기 이후 미국 패권의 쇠퇴에 대한 논쟁을 평가하시오. (15점)
2) 달러 지위에 대하여 달러 패권 시대의 종식과 달러 지위의 지속을 주장하는 상반된 두 입장이 있다. 달러 지위의 지속을 주장하는 입장을 브레튼우즈 체제와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15점)
제 3 문. 영일동맹(1902)부터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1951)까지 일본과 서구 열강과의 관계를 기술하시오. (20점)
2013년 시행 5등급(외무) 공채 제2차시험(영어능통자)
응시번호 : 성명 :
제 1 문. Right after World War II ended, the United Nations was founded in October
1945. Major powers agreed that the Security Council should be set-up looking
back to the failures of the League of Nations. The Security Council has
been functioning as a major branch of the United Nations to deal with
world peace and international security.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Total 50 Points)
1) By choosing a relevant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explain the process
of the Security Council foundation and the reason of increasing pressures
on the Security Council reform after the end of the Cold War. (30 Points)
2) State what measures the Security Council took against North Korea's nuclear
tests and discuss the limits of those measures. (20 Points)
제 2 문. The 2008 U.S. financial crisis has spurred debates on the hegemonic status
of the U.S. in the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ic order. Among them is
the continuity of the U.S. dollar as the international currency after the crisis.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Total 30 Points)
1) Make a review of the debate on the decline of the U.S. as the hegemonic
state. (15 Points)
2) There are two contrasting opinions on the future status of the U.S. dollar.
one group says that the U.S. dollar will lose its status as the international
currency; the other group predicts the continuity of the U.S. dollar as the
international currency. Explain the continuity of the U.S. dollar as the
international currency comparing its role under the Bretton Woods system.
(15 Points)
제 3 문. Explain the historical evolution of Japan's relations with Western Powers
from the first Anglo-Japanese Alliance of 1902 to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of 1951. (20 Points)
-------
2013 Five Star enforcement (foreign) bond chasiheom second (Fluent English)
Republic of Korea in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
국 제 법
2013년 시행 5등급(외무) 공채 제2차시험
응시번호 : 성명 :
제 1 문. X회사는 A국에서 설립되었다. X회사의 주식을 A국민은 38%, B국민은 10%,
그리고 C국민은 52% 보유하고 있다. 1992년 X회사는 B국에서 60년간 유정
개발을 하고, 그 기간 동안 미화 30억 달러에 해당하는 직접투자를 하기로 하는
양허계약(Concession Agreement)을 B국 정부와 체결하였다. 이에 따라서
X회사는 B국 내에 원유 채굴 및 정제를 위한 공장시설을 다수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그 과정에서 X회사는 원유채굴을 하면서 주변 삼림을 훼손하고
폐원유를 처리하지 않은 채 강물에 흘려 보냄으로써 원주민의 식수원을 오염
시켰고, 이에 국내외 다수의 환경단체들이 공장폐쇄를 요구하였다.
한편, 최근 B국에서 새로 집권한 정부는 국내외 기업을 막론하고 계속
환경을 훼손할 경우 해당 기업을 국유화할 수 있으며, 국유화 조치로 인한 보상
금액은 국유화 시점을 기준으로 국제시장가격의 50%만 인정한다는 국내법을
제정하였다.
결국 B국 정부는 X회사가 야기한 환경피해를 이유로 X회사의 관련 정유시설을
국유화하는 조치를 내렸으나, 동일한 환경피해를 야기한 D국 기업 Y회사는
국유화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그러자 X회사는 자신에 대한 국유화 조치가
국제법 위반이라고 주장하였다. X회사는 B국 내에서 B국 조치의 취소를
구하는 소송을 제기하였지만 B국 내 최고법원에서 패소하였다. (총 35점)
1) X회사를 국유화한 B국 조치의 국제법적 합법성을 논하시오. (15점)
2) X회사의 피해와 관련하여 A국과 C국이 B국을 상대로 외교보호를 행사할 수
있는지 여부를 논하시오. (20점)
제 2 문. A국에서는 X부족이 30여 년 동안 부정선거와 무력을 통하여 권력을 독점하고
다른 부족들을 억압하며 통치하고 있다. 최근에 A국의 국민들은 공정한 선거와
민주주의를 요구하는 시위를 벌였는데, 정부는 이 시위를 무력으로 진압하면서
수천 명의 민간인을 고문, 살해하였다. 이에 A국에 인접한 B국은 군대를
파견하여 A국의 인권침해 사태를 종식시키기로 결정하였다. 한편, 유엔안전보장
이사회는 A국 정부가 자행한 인권유린을 이유로 유엔헌장에 따라 A국에
대한 강제조치를 취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총 35점)
1) B국이 군대를 파견하여 A국의 인권침해 사태를 종식시키는 것은 국제법상
허용되는가? (20점)
2) 유엔안전보장이사회가 A국에 대한 강제조치를 취할 수 있는 요건과 강제조치의
유형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15점)
-----------------
국 제 법
2013년 시행 5등급(외무) 공채 제2차시험(영어능통자)
응시번호 : 성명 :
제 1 문. Company X was established in State A. The investors from State A hold
38 % of the shares of Company X. The investors from State B also hold
10%, those from State C holding 52%. In 1992, Company X concluded a
concession agreement with State B to plan and manage the extraction of
oil and gas for the period of 60 years in a rain-forest area in State B.
Company X was to invest at least 3 billion US dollar for the whole period.
Based on the agreement, Company X has been operating a number of oil
drilling and refinement facilities in State B. However, Company X did not
plug the holes of oil wells after finishing operations, and dumped oil-waste
into nearby rivers, resulting in huge pollution to forests on which the life
of indigenous people had relied. Many environmental organizations have been
calling for the shutdown of the facilities.
Meanwhile, the new government in State B legislated a new law, stipulating
that the government could nationalize, regardless of their nationality,
corporations polluting the environment, and that compensation for the
nationalization shall be equivalent of 50% of international market price of
the nationalized assets.
After entry into force of the law, the government of State B nationalized
the facilities of Company X, citing the pollution caused by the company.
However, Company Y of State D, which had caused the identical type and
amount of pollution in State B, was not nationalized. Company X raised a
claim that the nationalization had been illegal in international law and filed
a lawsuit seeking its nullification in State B, but lost in the supreme court
of State B. (total 35 points)
1) Discuss the legality of the nationalization by State B in international law.
(15 points)
2) Discuss the matter as to whether either State A or State C may exercise
the rights of diplomatic protection against State B with regard to the
nationalization. (20 points)
제 2 문. In State A, an ethnic group X has ruled the country for over 30 years by
election rigging and force, monopolizing power and oppressing other ethnic
groups. Recently, the people of the country staged demonstrations against
the government, demanding fair elections and democracy. Oppressing the
demonstrations by force, the government tortured and killed thousands of
civilians. State B, adjacent to State A, has decided to stop the violations
of human rights in State A by sending its troops. In the meantime, the U.N.
Security Council is discussing mandatory measures in accordance with the U.N.
Charter, citing the violations of human rights by the government of State A.
(total 35 points)
1) Is it allowed in international law for State B to send its troops, in order to
stop the violations of human rights in State A? (20 points)
2) Explain the requirements for the U.N. Security Council to take mandatory
measures against State A, and the types of the measures. (15 points)
제 3 문. Both State A and State B are Members of the World Trade Organization
(WTO). State A imposed a measure banning domestic sales of coffee imported
from State B on the grounds that the coffee from B was produced, unlike
the coffee from State A, by way of child labor. Therefore, State B filed
complaints against State A before the Dispute Settlement Body of the WTO.
(total 30 points)
1) State A argues that the coffee of State A and State B is not like products,
therefore the measure is irrelevant to the national treatment principle of
GATT Article 3.4. Comment on the argument of State A, in accordance
with GATT 1994 and the TBT Agreement. (20 points)
2) State A also argues that the measure satisfies the necessity test for
protecting public morals in GATT Article 20(a). Comment on the argument
of State A, in accordance with the decisions of the WTO Appellate Body
on the necessity test. (10 points)
-----------
2013 Five Star enforcement (foreign) bond chasiheom second (Fluent English)
Republic of Korea in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
기출 시험문제 푸는 것은 뭐 자기 공부하기 나름 아닌가??
왜? 내가 전공하는 문제를 전혀 풀지도 못하면서
나한테 지랄하는 이유는 도대체 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