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공간과 이야기

사이버 테러의 이슈화, 의제화(의안화)와 사회학(사회병리학)

Historymaker731 2015. 1. 17. 12:47

 

사이버 테러의 이슈화, 의제화(의안화)와 사회학(사회병리학)

 

사회병리학에서 사이버테러에 관한  

언론에서 떠드는 핵심을

질문화 시켰다. 

 

찬반은 양쪽 이야기를 들어봐야 하는 이유가 있기 때문에
반드시 필요하다.

 


질문들 
 
1.  소니해킹사례에서.. 사이버테러가 단지 하나의 사회병리현상으로만 치부될 수 있는가?
(찬반의 경우)
 
1의 보충 질문 - 여기서 모든 사이버테러는 악의 축으로 볼 수 있는가???

(찬반 사유 기재)
 
혹 사이버테러 찬반 사례를 비교할 수 있는가?
 
- 사이버테러 찬성한다면 사이버테러의 좋은 점을 부각시킬 수 있는가? 혹 그 반대도 마찬가지
 
2. 사이버테러가 사회병리현상에서 나타는 대한민국사례를 연구하고 논문화 / 체계화 / 기술화 시킬 수 있는가?


(이론의 현실화 포함)
 
이런 질문이 쏟아져 나온다. 
 

* 해외사례 비교 연구도 나와야 함

 

---------------------------------- 절 취 선 ----------------------------------------



이거 미국조차도 찬반이 벌어지는 질문이다.

대한민국은 과연 어떻게 생각 하고 있는지 내 생각은 어떤지..

궁금하다.

내가 올린 질문은 시험문제에 나올만한 수준이다.
이게 여기서는 시험문제는 아니니까
 
정리하여 질문과 답을 내 블로그에 생각나면 올릴 예정이다. 
자유글로 문서화로 남길 예정 (논문으로 쓰려면 귀찮다. 페이지수 압박)

사이버대학교 시험문제나 관련 학과 석사 대학원 시험에서 자유논술 문제로 내면 된다.

 


아마 정보통신학과, 정보보안학과 애덜도 머리 쥐어 터질껄..
(해킹 기술에서..) 
실무 해커도 머리 터질만한 핵심기술이긴 하지.. 
일반화된 기술이라면 아마 간단한 툴로도 설명이 가능하다고 본다.

 

사회학은 그렇다쳐도..;;;

 

관련글 참고

 

다음 블로그

http://blog.daum.net/hch73111/13761087

 

PS) Cyber confilct 를 구체적으로하면 cyber attack confilct로 바꿔서 말할 수 있고..  이건 외국에서는 사이버테러로 규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