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공간과 이야기

매슬로우 욕구 위계론 이론에서 본 드라마 미생(평가)

Historymaker731 2014. 12. 11. 10:20

 

 

돌아보는 사회복지행정 이론공부 
 
매슬로우 욕구 위계론 
 
1. 생리적욕구  - 의식주, 인간의 기본 권리, 성욕도 여기에 해당됨 
 
2. 안전욕구 - 위험 예방,  사고예방, 건강, 전쟁으로 부터 보호등등.. 
 
3. 소속감과 애정욕 - 사회성, 지위, 직위, 직급 확보 (회사직급을 의미하기도 함) 드라마 미생은 여기서 대기업이나 중소기업에서 진급등 사회 생활 싸움을 그린다. 직장도 소리없는 전쟁터이긴 하다. 지금도.
여기서 노블리스 오블리주는 가장 이상적인 가지관일 뿐 실존하지 않는다.  

 

 

블로그 추가 내용 - 드라마 미생에서 존경의 욕구는 산산히 조각나 버린다. 소신대로 추구하는 장그레는 그냥 사회에선 백수나 취준생으로만  할 인간으로 그려진다. 타협하면 당장은 편하지만 4단계 존경 욕구가 없어져 버려 목표나 미래, 가치관이 사라진다.

소위 이 때 부터 매너리즘에 빠지기 시작하기도 한다.

그렇게 사회에서 성공하고 어느 정도 위치에 오르지만..  실상은 아무것도 아니다.

그래서 그냥 사는 인생으로 전락해 버리는 고달픈 현대 직장인들의 비애가 있다.

물론 꾸던 꿈도 잃어버리거나 사라져 수많은 사람들이 방황하거나 포기해 버린다.

그저 그런 인생이 되어버린다.

꿈이 있어도 이루지 못하는 게 있다는게 오히려 위안이 될 수도 있다. 그래서 술로 푼다.


가끔 3,4단계가 동시에 혹은 어느 한가지만 추구할 수 있다.
다 만족하지 못하면 매슬로우처럼 1단계 욕구을 다시 충족해야 한다. 
 
4. 존경욕구 - 명예욕,존경,인기, 지위확보((외적존경의 욕구)


5. 자아실현욕구 - 가장 정치적이고 사회적인 인간, 자기 계발과 자기 발전의 욕구  

여기서 개인이 추구하고 생각하는 이상적인 세계나 정치 혹 가치관은 결코 실제에서 존재하지 않고 추구하지도 않는다.
오히려 추구하면 할수록 더 멀어진다는 현실을 드라마 미생에서 잘 반영했다고 본다.  
 
드라마 미생이 인기가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나는 드라마 미생 전혀 보지도 않고 이렇게 평가한다.